프로그래밍/Web(9)
-
빠르게 사용 가능한 Mock Server(모의서버)
백엔드 API가 완성되기전까지 프론트에선 통신이 잘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가짜 API를 준비해야할 경우가 있다 이때 대체로 1. Postman의 MockServer나 2. 파이어베이스 이 두가지 방식을 사용하는데 사내 프록시서버때문에 막힌다던가 개인의 PC문제로 두가지 방법을 사용하지 못할때의 대처방법이 있다. 위 두 방법이 막힐때 IDE 확장프로그램중에 목서버를 빠르게 설치해주고 사용가능한 확장프로그램이 있으리라 생각했는데 역시나 있었다. 참고로 중국개발자분이 만드신것같다. 준비물: vsCode 사용법은 간단하다 Install > F1 > EasyMock Start하면 바로 목서버페이지를 켜준다 켜면 이렇게 메인이 되는 페이지가 나온다. mock이라는 폴더와 함께 목서버 파일이 생성된다. api주소도 추..
2021.11.29 -
웹저장소 종류 4가지
개발하면서 회원가입/로그인 기능을 구현할때 토큰을 어디다가 저장해야할지 사용자가 짧게 가지고있어야할 정보를 어디에 넣어야할지 고민이 많았는데 웹저장소 개념이 헷갈려서 아무데나 저장한 경우가 더러 있었다. 그래서 이 영상을 참조해 개념을 백업백업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NnvsMCR9DL0 웹저장소 네가지 1. 로컬스토리지 만료기간없이 계속 저장 키벨류 저장소이고 str타입만 지원함 최대저장용량이 많지않음(5mb~10mb) 2. 세션스토리지 브라우저끄면 날아감 자동임시저장용도쯤으로 자주 쓴다고함 3. 인덱스DB 로컬스토리지와 다르게 대용량데이터 저장가능 상대적으로 저수준 API 제공? 본격적으로 저장하겠다면 고려해볼만? 4. 쿠키 저장용량 4kb로 진짜작음 서버데이터 공유..
2021.06.03 -
지도데이터를 다룰 때 주의해야할 점
이번 프로젝트에서 카카오 지도 API를 사용했다. 지도데이터하면 경도와 위도를 필수적으로 다룰 수 밖에 없는데 이때 주의할 점이 하나 있다. 기본적으로 우리는 마커(location포함 데이터)에 좌표를 넣어 DB에 저장해두고 그걸 불러오는 로직을 고안했는데 location = [x,y] 식으로 [위도,경도]값을 array에 넣어 DB에 넣어주려했다. 그러나 이 데이터들을 단순 num값으로 DB에 넣으면 (첫번째는 테스트항목이니 무시) 두번째와 세번째는 같은데이터인데 두번째는 number형식이기에 특정 소숫점자리가 반올림된것을 볼 수 있다. 그리고 str형식으로 넣어준 세번째값은 그대로 데이터가 보존되어있다. 이게 왜 중요하냐면 지도좌표에서 0.0001의 위치는 아주 큰차이이기 때문이다. (극단적인 예시로..
2021.04.21